전라북도교육청이 도심의 대규모 과밀학교와 소규모 농촌학교를 하나의 통학구로 묶는 공동통학구역 지정방식으로 농어촌학교 희망찾기 주요정책의 가닥을 잡고 있다.
학생수 감소로 통폐합의 위기에 놓인 전교생 60명 이하의 초등학교를 인근 도심의 대규모 학교와 공동통학구역으로 묶어 학생들의 전입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농어촌학교 살리기에 나서겠다는 것. 현행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은 교육장이 학급편제와 통학 편의를 고려해 통학구역을 결정토록 하고 있다.
전라북도교육청은 이르면 5월부터 지역교육지원청?학교와 협의를 거쳐 60명 이하의 초등학교 중 구성원의 의지가 높은 학교를 중심으로 농어촌희망찾기 모델학교를 20개 이내로 지정할 계획이다. 이들 농어촌희망찾기 모델학교에 대해선 ?공동 통학구 지정 ?학생 통학 편의 제공 ?정규 교사 우선 배치 ?방과후학교 등 교육과정 지원 ?자연친화적인 시설 환경 지원 ?예산 지원 등을 할 계획이다. 이와관련, 이미 지역교육지원청과 세부적인 논의에 착수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라북도교육청의 이같은 전략은 지난 1월 전주문학초등학교 학생 16명이 공동통학구역으로 지정된 소규모 원동초등학교로 전학하는 사례가 있는 등 일부 검증된 바 있다.
전라북도교육청은 15일 농어촌학교 희망찾기 T/F팀 협의회를 갖고 이같은 내용을 빼대로 한 농어촌희망찾기 모델학교 20개 지정계획을 확정했다. 대상은 초등학교로 제한된다. 전라북도교육청의 이같은 정책이 성공할 경우 전주시와 경계에 놓 인 임실, 김제, 완주, 진안 등의 소규모 농촌학교들이 농어촌희망찾기 모델학교를 통해 회생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전라북도교육청은 농어촌희망찾기 모델학교로 지정된 학교에 대해선 학생통학버스를 지원하고, 교실 개보수, 특색있는 교육프로그램 등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으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 실제로 농어촌모델학교로 첫 지정된 전주 원동초등학교에 대해 전라북도교육청은 학생통학버스를 지원해 3월부터 운영에 들어가며, 3월 교원인사 발령을 통해 교사를 추가 배치할 계획이다. 또 교실 개보수를 위해 지난 1월말 현장실사를 마쳐 예산에 반영하는 한편 특색프로그램 예산도 별도로 세운 상태다.
전라북도교육청의 전략대로 농어촌희망찾기 모델학교로 지정된 학교들이 자연친화적인 학교환경과 특색교육프로그램과 결합돼 학생과 학부모들의 만족도를 높일 경우, 향후 도심학교 학생들의 농촌학교로 전입학하는 새로운 흐름도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농어촌지역의 혁신학교를 찾아 전입학하는 학생들의 사례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전라북도교육청은 전북교육정책연구소에 의뢰, 도심학교 학부모를 대상으로 농촌학교 전입학 의향을 묻는 설문조사도 기획하고 있어 설문조사결과가 이같은 흐름의 가늠좌가 될 전망이다.
전라북도교육청의 농어촌 희망찾기 모델학교 지정방식은 학교 구성원이 신청하는 자율형과 교육청이 학교구성원과 합의를 거치는 지정형으로 나눠 운영하고 지정기간은 3년이다. 학생과 학부모의 공모를 통해 별도의 명칭도 결정하기로 했다.
한상균 전라북도교육청 정책공보담당관은 “도심학교는 학생규모가 매우 많고, 농어촌학교는 학생 부족이 심각하는 등 도농간 학생규모의 양극화현상이 심각한 상황”이라며 “농어촌희망찾기 모델학교는 이같은 불균형을 해소하는데 상당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정석 기자